[2] 식물의 병해
(1) 병원성 - 기주식물에 대해서 기생체가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다.(침해력+병원력)
(2) 병원
- 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생물일때 : 병원체 ( 바이러스, 마이코 플라즈마)
" 세균, 진균일때 : 병원균
-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모든 요인 : 병원
(3) 식물병의 요인
- 주인 : 식물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
- 유인 : 주인의 활동을 도와서 발병을 촉진시키는 환경 요인 등
(질소질 비료 과용시 여러 가지 병의 발병 촉진)
(4) 식물병의 원인에 대한 병의 종류
- 바이러스병
- 세균병 : 박테리아, 분열균, 식물의 세균병은 대개 상처를 통해 들어가 발생
- 균류병 : 곰팡이, 효묘균, 버섯 등이 포함 된다. 균류는 핵을 갖고 있어 세균류와 구별된다.
- 선충병 : 뿌리를 헤쳐서 혹을 만들거나 썩게 함
잎에 반점을 만듬
종자를 해침
구근과 줄기에 피해를 줌
(5) 식물병의 분류
- 병원에 의한 분류
1) 생물성 원인 : 세균, 진균, 점균, 종자식물, 곤충, 선충, 응애, 고등동물(간접원인),
바이러스, 마이코 플라즈마 등에 의한 것
2) 비생물성 원인 : 대부분이 환경에 의한 영향이며, 농사작업 대사산물의 이상 등에
의해 발생.
(6) 식물병의 진단
- 병징 : 식물체가 병원에 의해서 세포, 조직, 기관에 이상을 일으켜 외부에 나타나는
반응
- 표징 : 식물병의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확실한 것, 병원체 그 자체가 병은
식물체 위 또는 병환부에 나타나서 병의 발생을 직접 표시하는 것.
1) 기생성 병에 있어서는 흔히 병환부에 병원체 그 자체가 나타나서 병의 발생을
직접 표시
2) 식물체 표면에 병원균이 노풀되어 있는 것
3) 곰팡이, 균핵, 흑색소립, 분상물, 이상돌출물, 점질물
- 동정 : 병원체를 분리 배양하고 접종 시험을 거치는 등 복잡한 실험을 거쳐 종명을
정확하게 결정하는 것.
- 병원체의 동정에 관한 코흐(Koch)의 3원칙(예외 : 바이러스, 흰가루병균, 녹병균)
1) 병원체는 반드시 병환부에 존재한다.
2) 병원체를 순수배양 접종하여 같은 병을 일으킨다.
3) 접종한 식물로부터 같은 병원체를 다시 분리할 수 있다.
- 병의 진단 법 : 진단은 현장에서 전신 진단 요망, 원인 · 결과 규명
1) 육안적 진단 : 시들음 병(시드는 것), 오갈병(오그라드는 것),
암종병, 혹병(혹이 생기는 것), 구멍병, 더뎅이병, 궤양병
2) 이화학적 진단 : 감자 바이러스병의 진단에 쓰이는 황산동법
3) 생물학적 진단 : 지표식물 이용(시금치 : 산성에 약함), 근두암종병 병균의 유무
(사과나무, 벚나무 묘목을 1년 후 뽑아 본다.)
4) 혈청학적 진단 : 병원체에 의한 혈청을 만들어 진단하는 방법
(7) 식물병의 발생
- 소인 : 식물체가 처음부터 가지고 있는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(종족소인, 개체소인)
- 병환 : 기생성 식물병이 한 번 발생하여 되풀이하여 발생하는 과정
(8) 병원체의 기생성
- 절대기생체(순활물기생체) : 살아 있는 조직 내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것
(녹병균, 노균병균, 흰가루병균, 바이러스 : 인공배양 안 됨)
- 반기생체(임의부생체) : 생을 원칙으로 하나 죽을 유기물에서도 영양을 취하는 것
(깜부기병균, 감자역병균, 배나무검은별무늬병)
- 임의기생체 : 부생을 원칙으로 하나 노쇠 또는 변질된 산 조직을 침해하기도 함
(고구마의 무름병균, 잿빛곰팡이병균, 각종 식물의 모잘록병)
- 절대부생체(순사물기생체) : 죽은 유기물에서만 영양 섭취 : 심재 썩음병균
(9) 병원균의 분산
- 공기 : 배의 붉은별무늬병(배나무, 향나무), 보리의 녹병(바람에의해 전파)
- 빗물 : 탄저병
- 흙 : 밀의 바이러스병(오갈병)
- 농작물 : 토마토 모자이크병(적심, 적아를 할 때 사람에 의해)
(10) 병원균의 전파 경로
- 잠복 : 대게 작물은 병원균이 들아가서 부터 병해가 일어나기까지 어느정도
시간이 걸림
- 보균 : 병원체가 식물의 몸에 전혀 병징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가 어떤 기회에
병에 걸리는 식물을 만나면 병균을 옮기는 것 (식물끼리 접촉시)
'자격증 공부 > 종자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과목 종자생산학 - [2. 종자의 발아, 휴면, 수명, 퇴화] (0) | 2022.12.23 |
---|---|
2과목 종자생산학 - [종자의 발아과정] (0) | 2022.12.16 |
4과목 식물보호학 - 1. 작물보호의 개념 (0) | 2022.11.22 |
2. 종자생산학 (0) | 2022.11.15 |
1. 재배학 원론 - 2 (0) | 2022.11.13 |